본문 바로가기

Certification/Linux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5)

netstat : SYN Flooding 공격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
ss는 더 최신 
 
텔넷 서버 관련 명령어
-u : UDP 모드로 telnet을 실행
-n : 호스트의 이름을 숫자로 변환하지 않고 주소로 처리
-p : 원격 호스트의 포트를 지정
-l : 로그인 할 때 사용할 사용자 이름을 지정 
 
/etc/services :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포트의 용도 기록.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텍스트 형태의 이름과 원래 할당된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 타입 간의 맵핑을 제공, 인터넷 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포트, 프로토콜 정보를 정의해놓은 파일 
/etc/protocols : 프로토콜과 프로토콜 식별 번호를 정의해놓은 파일 
 
리피터 - 브릿지 - 라우터 
 
metaciity - GNOME
kwm,vwin - KDE 
 
디스플레이 매니저 :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X 윈도의 구성요소
 
레드햇 : rpm,yum
데비안 : dbkg, apt-get
수세 : YaST, Zypper
 
YaST : 패키지 관리 기능을 포함하긴 하지만 수세의 시스템 설정 및 관리 도구  
alien : 데비안 리눅스에서 다운로드 받은 rpm 파일을 deb파일로 변환
 
-qi : information 패키지 정보 출력
-ql : list 패키지 파일들 출력
-qa : all 세스템의 모든 패키지 출력
-qf : file 특정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명 출력 
 
IPv4 : 32bit
IPv6 : 128bit
MAC : 48bit
 
SSH서버에 계정을 변경해서 접속하는 과정 ssh -l
ip route show :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출력 
ip : 시스템에 장착된 이더넷 카드의 MAC주소를 확인하는 명령
 
도메인이 나오면 /etc/hosts
도메인없이 네임스페이스 IP면 /etc/resolv.conf
 
-x, -c xfs_quota
-u setquota 
 
파일 점검 명령어>> ext파일 : fsck // xfs : xfs_repair 
 
시그널에 부여된 번호값 확인 : kill 명령어\
 
killall, nice > 프로세스명 사용
kill, renice > 프로세스번호 
 
nano : GNU 프로젝트 일부로 개발, 간단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텍스트 편집기
kwrite : KDE 데스크톱 환경의 일부로 개발된 텍스트 편집기
 
.virc = 비주얼 모드인 vim을 위한 설정 파일
.exrc = vi 편집기에서 사용자가 환경 설정을 등록하는 파일
dd =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
 
데비안 리눅스 = -P purge 패키지를 제거하고 관련 설정파일까지 모두 삭제
                           -r : dpkg 패키지툴로 패키지 제거 시 사용하는 옵션 
 
configure : 소스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설치하는 과정에서 위치를 지정하는 명령
make : 위 단계에서 생성된 Makefile을 바탕으로 실제 소스 코드를 컴파일
make install : 컴파일된 실행 파일과 기타 필요한 파일들을 시스템의 적절한 위치에 복사하여 설치
 
cvf 생성 xvf 해제 tvf 목록
 
yum list sendmail : sendmail 패키지가 레포지토리에 있는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포함해 간단한 목록
yum info sendmail : 미설치된 sendmail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
rpm -qi sendmail : 이미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
 
CUPS : 애플이 개발한 공개 소프트웨어 프린팅 시스템으로 유닉스 운영체제의 시스템을 프린터 서버로 사용
             프린터 관리 및 출력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LPRng : 네트워크 프린팅을 지원하는 프린팅 시스템 
 
LV :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할당해서 생성되는 공간으로 물리적 디스크에서 분할하여 사용하는 파티션
 
데스크톱 환경 : GUI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 파일관리자, 아이콘, 창, 도구모음, 배경화면, 위젯 등을 제공
 
GNOME >>
nautilus : 파일 관리자
metacity : 윈도우 매니저
mutter : 윈도우 매니저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화 기술 : xen, KVM, VirtualBox
 
Arduino :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내장하여 특정한 기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만든 전자 제어 시스템
 
Ansible :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구성 관리, 배포 프로그램으로 유닉스, 리눅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공개 프로그램 , 2015년 레드햇에 인수되어서 관리
 
SAMBA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링형 :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적으며,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는 LAN
 
게이트웨이 주소값 확인 가능 명령 : ip,route,netstat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넷마스크, MAC 주소 등을 표시
 
DNS 53번은 UDP,TCP 둘다 지원
 
fdist 파티션 삭제 -d
 
/etc/profile 모든 사용자의 셸 환경 제어하는 전역설정파일이며 환경변수와 배시가 실행하는 파일 제어 
 
set ai : vi 편집기에서 자동으로 들여쓰기와 행 바꿈을 해주는 기능으로 새로운 줄에서 바로 윗줄의 시작 열과 같은 위치에 커서를 위치
 
vi편집기 > hjkl 왼아위오
 
dselect  Debian 계열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기반 패키지,curses 메뉴 방식의 도구로 커서를 사용해서 주어진 메뉴를 이동하면서 손쉽게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yum remove nmap
 
PE : LVM을 구성하는 일종의 단위로 일반 하드디스크의 블록에 해당한다. 
 
XFree86 : IBM 호환 시스템을 사용하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를 위한 X윈도 프로젝트
 
고계산용 = 베어울프 클러스터 :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데 주로 과학 계산용으로 활용된다. 흔히 슈퍼컴퓨터라고 부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핵심 기술
 
VMDK : VMware에서 생성한 가상 머신의 파일 형식
 
Docker :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Kubernetes : 컨테이너 관리 프로그램 
 
문자주소 나오면 hosts
ip주소 나오면 resolv.conf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ICMP : 메시지에 대한 오류 보고와 이애 대한 피드백을 원래 호스트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
 
Ethernet : MAC 주소 기반 통신, UTP/BNC 케이블 사용, 허브/스위치 사용,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
X.25 :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 공공 전화망에서 사용,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SMTP 25
IMAP 143
SNMP 161.162
FTP 20.21
 
yum remove nmap 
 
rpm -e httpd --nodeps 의존성이 있는 httpd 패키지를 강제로 제거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 : 기존에 실행한 명령들을 위/아래 방향키를 사용하여 검색 및 편집하여 특정 명령을 반복해서 수행
 
enp0s3 : CentOS7 버전에서 이더넷 카드를 장착했을 때 나타나는 장치명의 형식
 
SSH -p 원격 호스트에 연결할 포트를 지정
         -l -login 지정된 사용자로 로그인
 
동기점의 위치 - 세션!!!!!!
 
DQDB : 도시와 같은 공중 영역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IEEE 802.6으로 표준화
 
srandr : 현재 화면의 크기 정보
 
Ctrl x + Ctrl c Emacs 끝내기 
 
kill %2 작업번호 2번!!
 
선언된 셸 변수를 확인하는 명령 : set
 
Loopback 네트워크가 속해있는 IPv4 = A
 
경로설정 = 네트워크 계층 
 
https 443 http 80
 
startx : 텍스트 모드로 부팅된 상태에서 X윈도를 실행하는 명령
 
tar -C 디렉터리 변경/ 디렉터리에 푸는 과정 
 
configure 제거 - clean 
 
vi + num 해당 num으로 이동 / num없으면 마지막
vi - 앞줄의 첫 문자로 이동
vi $ : 커서가 줄의 맨 끝으로 이동 
 
nano : GNU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비
리피터 :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장치
브리지 :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통신량을 조절하여 트래픽을 관리 
 
10/172/192
 
RIP,OSPF,BGP = 네트워크 계층   
3 way handshaking - T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