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5는 1개의 디스크를 패리티로 사용하고 나머지가 전체 용량이 됨
스트라이핑 : RAIDO에서 사용. 여러개의 디스크를 합쳐서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
하나의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눠서 쓰기때문에 이론상 디스크 수만큼 읽기 쓰기 속도가 빨라짐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기록하는 기술
LVM(논리 볼륨 관리자) 구성 순서 :PV-VG- LV
여러개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인 디스크로 할당하여 유연하게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줌
PV(Physical Volume) : 물리적 볼륨이라는 의미로 각각의 파티션을 LVM으로 사용하기 위해 형식을 변환
LV(Logical Volume) : 논리적 볼륨으로 마운트포인터로 사용할 실질적인 파티션
VG(Volume Group) : 볼륨 그룹을 PV로 되어 있는 파티션을 하나의 물리적인 그룹으로 만든다
PE :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디스크의 블록에 해당하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p : 프린터 디바이스 path를 사용하여 직접 인쇄
lpr : 인쇄 작업을 수행
lprm : 프린터 큐의 작업을 삭제할 때 사용
lpstat : 프린터 큐의 작업 정보를 확인
OSS : 사운드, 표준 유닉스 시스템 콜
ALSA(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
CUPS : 애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
SANE :스캐너 관련 API
rpm 패키지 제거 옵션 : -e / 의존성 패키지 제거 옵션 : --nodeps
standalone : 대기하고 있다가 요청이 발생하면 즉각 처리 ( 빈번한 요청이 발생하는 서비스에 적합 )
inetd : 평상시에 잠자고 있다가 요청이 올때만 구동 ( 메모리 관리가 효율적 )
daemon :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
SIGINT : 2 종료 CTRL + C
SIGKILL : 9 강제종료
SIGTERM : 15 KILL 시스템 호출시, 가능하면 정상종료 시키는 시그널
SIGSTOP: 20 CTRL +Z 프로세스 대기 전환
Bourne Shell : Unix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셸
Dash : Debian 시스템에서 sh의 대체품으로 사용
Bash :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셸
Csh : 히스토리 기능, Alias 기능, 작업 제어 등과 같은 유용한 기능이 포함된 셸로 1978년에 버클리 대학의 빌 조이가 개발
R : 복잡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를 위한 강력한 도구를 제공
Hadoop :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데이터 저장과 처리에 유용
NoSQL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대안으로, 빅데이터와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기술
Cassandra : 고가용성 확장성을 제공하는 분산 No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로컬 시스템에 있는 파일을 FTP 서버에 업로드하는 경우 : put
-u UPD 모드로 talnet을 실행
-n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변환하지 않고, 주소로 처리
-p 원격 호스트 포트를 지정
-ㅣ로그인할 떄 사용할 사용자 이름을 지정
IPv4의 c : 192.0.0.0 ~ 223.255.255.255
1계층 물리 계층 - bit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frame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packet
4계층 전송 계층 - segment
arp : 소프트웨어적으로 할당된 논리 주소인 IP주소를 실제 물리 주소인 MAC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ss :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
Repeater - Bridge - Router
윈도 매니저 : x-윈도우 상에서 윈도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매니저 : x- 윈도우 구성 요소 중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 수행 프로그램
압축의 효율성 : Compress < gzip < bzip2 < xz
rmp -Fvh : 이전버전 패키지 있는 경우에만 패키지 설치
rpm -Uvh : 패키지 업그레이드
rmp -ivh :rpm 패키지 설치
top : 실시간으로 CPU 사용량을 확인할때 이용하는 명령어
pgrep : 지정된 기준에 따라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ID를 찾을 수 있는 명령줄 유틸리티
nohup :프로세스를 중단하지 않고 백그라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
free :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와 이미 사용하고 있는 물리적인 메모리, 스왑메모리의 전체 용량 등의 메모리의 사용현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etc/shells : 사용 가능한 셸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etc/bashrc : alias와 bash가 수행될때 실행되는 함수 제어와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etc/passwd : 리눅스 계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etc/profile : 환경 변수와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어와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
setquota : 터미널에서 직접 사용자나 그룹에 쿼터를 적용하는 명령어
quotacheck > edquota > quotaon > repquota
/etc/fstab의 기본 형식 : 장치명 - 마운트 포인트 - 파일 시스템 종류 - 옵션 - 덤프 유무 - 파일 시스템 검사 유무
blkid : block device의 파일 시스템 유형이나 속성(Label, UUID)를 출력하는 유틸리티
윈도우 시스템에 공유된 폴더 마운트 : cifs, smb
패킷 교환 방식 : 인터넷,대역폭 고정되어있지 않음, 경로 고정되어 있지 않음, 각 패킷마다 오버헤드 비트가 있음,
이론상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 가능
GIMP : 이미지 편집기
eog : GNOME의 이미지 뷰어
evince : PDF 문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Gwenview : KDE용 이미지 뷰어
Xlib :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서버와 대화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을 가진다
XCB : Xlib과 비교하여 향상된 쓰레딩 기능을 지원하고 확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라이브러리 크기가 작고 단순하며 직접 X 프로토콜에 접근도 가능.
KDE : 유닉스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강력한 오픈소스 GUI 데스크톱 환경, QT 기반으로 만들어짐. 유닉스 운영체제의 기술
Xfce : 다양한 유닉스 운영체제들을 위한 가벼운 데스크톱 환경, 생산성 높은 디자인, 높은 프로그램 속도
LXDE : 컴퓨터 사양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또록 설계된 데스크톱 환경
GNOME : 리눅스 등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기반의 데스크톱 환경, GNU,GTK+를 이용해 만들어짐
~/.bashrc : 함수 및 alias 관련 설정 파일
~/.bash_profile : 환경변수 등의 설정파일
'Certification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5) (4) | 2024.09.07 |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4) (7) | 2024.09.06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3) (0) | 2024.09.06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1) (0)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