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a : 현재 사용자 단위 쿼터 정보를 출력
edquota : 편집기를 사용하여 그룹에 디스크 사용량 할당, 실행시 vi편집기 실행
repquota : 시스템 단위 쿼터 정보를 요약하여 출력
xfs_quota : CentOs7에서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파일시스템장치 - 마운트 포인트 - 파일 시스템 종류 - 옵선 - 덤프 - 파일점검 옵션
Docker :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 , 하이퍼바이저나 게스트OS없이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설치 및 운용 가능
Saas :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서비스
IaaS : 서버나 스토리지 같은 IT 하드웨어 자원을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Daas : 사용자에게 가상화된 데스크톱을 아웃소싱 형태로 전달하는 서비스
Paas :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Tizen IVI : 삼성과 인텔이 공동 개발한 리눅스 기반 오픈 소스 자동차용,MeeGo의 후속으로 개발됨
GENINI : 2009년에 BMW,인텔이 공동 개발한 리눅스 커널기반의 자동차용 표준 IVI 플랫폼을 개발한 컨소시엄
Rocky Linux : 레드헷 엔터프라이즈 리눅스의 복제버전에 해당하는 centos 지원 종료에 따라 탄생한 리눅스 배포판
Gregory Kurtzer가 주도
Arch : 사용자 중심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강력하고 경량화된 운영체제
DNS - 53
SNMP - 161,162
SMTP - 25
IMAP - 143
HTTPS - 443
물리 계층 : bit
데이터링크 계층 : frame
네트워크 계층 :packet
전송계층 : TCP -Segment UDP -Dtagram
INAN : ICANN이 등장하기 전에 IP 주소 및 도메인을 관리한 기관
ISO : 국제적인 표준화 기구
CCITT :국제 전신전화 자문위원회
ITU-T: 국제 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 부분은 통신 분야의 표준 책정
IEEE : LAN의 접속규격과 처리에 대한 표준을 제정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장비
라우터 : wan, lan연결에서 사용
리피터 :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중계하는 장치
브리지 : 특정네트워크로부터 오는 통신량을 조절하여 트래픽을 관리
ss,netstat : 운영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 정보를 확인
10/172/192
BGP,RIP,OSPF: 라우팅 프로토콜(네트워크 계층)의 한 종류
3way-handshaking - TCP
SSH :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 실행 및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 복사 가능,rsh,scp,sftp,
sccp(Skinny Client Control Protocol) Cisco에서 사용하는 VoIP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etc/sysconfg/network : 네트워크 사용 유무 지정, 호스트명 설정, 게이트 웨이 주소 설정, NIS 도메인명등이 기록되는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etc/resolv.conf : DNS 서버의 IP주소나 도메인 등 설정하여 이름 해석에 사용
CSMA/CD : Collision Detection 단말기가 전송로의 신호 유무를 조사하고 다른 단말기가 신호를 송출하는지 확인
DQDB : Distributed Queue Dual Bus IEEE 802.6 규격인 QPSX의 제어접속에 사용
ethtool : 이더넷 카드의 Link mode를 Auto-negotiation에서 1000Mb/s FUll duplex로 변경하는 명령
윈도 매니저 : X-윈도우상에서 윈도우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창열기와 닫기, 창 최소화와 및 최대화, 창 이동, 창 크기 조정 등이 있다.
데스크탑 환경 : GUI 환경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KDE,GNOME,LXDE,Xfce
파일관리자, 아이콘,창,도구 모음,폴더,배경화면,데스크톱 위젯을 제공하고
드래그앤 드롭 및 프로세스 간의 통보
디스플레이 매니저 : X-윈도우 구성요소 중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 역할 수행프로그림, XDM,GDM,KDM
xauth list $DISPLAY
konqueror : KDE 기반,웹 브라우저 및 파일 관리 시스템
nautilus : GNOME 데스크톱 기반의 파일 관리 프로그램
metacity : GNOME 2.x 윈도우 매니저
mutter : GNOME 3.x 윈도우 매니저
X윈도 모드로 부팅 : systemctl set-default runlevel5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텍스트모드로 부팅 : systemctl set-default runlevel3 /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PV : 피지컬 볼륨, 디스크를 LVM에서 사용할 수 있게 변환하는 작업
VG : 볼륨 그룹, PV가 모여 만들어진 그룹
PE : 피지컬 Extent , PV에서 나누어 사용하는 블록, 4MB
LV : 로지컬 볼륨, VG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할당돼서 만들어지는 공간
LE : 로지컬 Extent , LV가 나누어진 일정한 크기의 블록
LPRng: 버클리 프린팅 시스템으로 BSD 계열 유닉스에서 사용하기 위헤 개발. 라인 프린터 데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프린터 스풀링과 네트워크 프린터 서버를 지원
rpm : 레드햇사에서 만들어낸 패키지 관리 툴
-f : 특정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명 확인
-q : 질문 옵션으로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
-i : 설치옵션으로 새 패키지 설치 또는 패키지 옵션과 조합되어 패키지 상세정보에 사용됨
-v : 상세내용 출력
-F : 이전 버전이 있을 때만 업그레이드
-p :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파일에 대한 질문의 수행
tar 명령어 옵션
tvf : 아카이브 내용을 리스트로 표시 / 상세 정보 표시 / 파일 이름 지정
cvf : 아카이브 생성
xvf : 아카이브 추출
rvf : 아카이브에 파일 추가
온라인 패키지 도구 : yum(레드헷), apt-get(데비안), zypper(openSUSE)
vi편집기의 환경설정 값
1) set ai : 자동 들여쓰기 옵션 윗 라인에 맞춰 같이 자동으로 들여쓰기
2) set ic : 검색 패턴 사용 시 대소문자 구별
3) set sm : 소스 코딩 작성 중 괄호를 닫을 때 어디에 있는 열기 괄호과 연관 되어 있는지 표시
4) set list : 눈에 보이지 않는 특수문자를 표시
nano 편집기
CTRL a : 현재 행의 맨 앞으로 이동
CTRL e : 현재 행의 마지막으로 이도
CTRL c : 현재 커서 위치 표시
CTRL x : nano 종료
ps : 실행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줌
-a : 현재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 출력
-u : 사용자 이름과 프로세스 시작 시간 출력
-x : 접속된 터미널 뿐만 아니라 사용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들 출력
ps aux : 현재 시스템 사용자가 사용중인 모든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NI값의 범위 -20~19
-20은 가장 높은 우선권을 19는 가장 낮은 우선권을 가짐
chsh 명령 사용법
-l : /etc/shells의 파일 안의 지정된 셸들을 나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셸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
-s : 지정하는 셀을 로그인 셀로 사용한다.
-u : 사용법을 출력
-v : 버전 정보를 출력
dash : POSIX와 호환되는 /bin/sh를 가능한 작게 구현한 셸로 빠른 작업 수행이 특징으로 현재 데비안 및 우분투 계열 리눅스의 기본 셸
CentOS7에서 사용되는 XFS 파일 시스템 점검하는 과정 : xfs_repair
아두이노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단일 보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완성된 보드와 관련 개발 도구 및 환경을 말한다.
2005년 이탈리아의 IDII에서 개발
마이크로비트 : 주머니 크기의 코딩 가능한 초소형 컴퓨터로 기울기 센서, 전자 나침반, 블루투스가 장착
큐비 보드 : 안드로이드와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는 mini-pc
Kubernetes : 구글에 의해 설계되었고, 현재는 리눅스 재단에 의해 관리되는 컨테이너 관리 프로그램
Docker :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 하이퍼바이저나 게스트OS없이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설치 및 운용 가능
Ansible : 오픈소스 IT 자동화 툴, 프로비저닝, 구성관리, 애플리케이션 배포, 오케스트레이션, 기타 여러가지 수동 IT프로세스를 자동화
OpenStack : XEN,KVN등으로 나눠서 운영되는 가상화 환경 통합 관리에 유용
잘 알려진 포트 0~1023
FTP :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를 지원함, 익명의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 가능, FRP를 사용하기 위해서 FTP서버 필요
SMTP : 25
DNS : 53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 3요소
1) 구문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하는 것으로 부호화 신호레벨 등을 규정
2) 의미 : 전송의 조작이나 오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에 대한 규정
3) 순서 :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
/etc/host 특정 URL 주소에 접속할 때, DNS 서버에 질의하지 않고 지정된 IP주소로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파일
/etc/resolv.conf : 사용하고자 하는 네임서버를 지정하는 파일
/etc/services :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모든 포트들에 대한 정의를 설정하는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 : 리눅스 ip주소를 설정하는 파일
IPv4 : 32bit
IPv6 : 128bit
route add default gw 192.168.10.1
imageMagicK : X윈도 기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Gimp : GNOME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Gwenview : KDE의 기본 이미지 뷰어
X서버에 ip주소가 ~~인 X클라이언트의 접근을 허가하는 명령어 > xhost + ~~~
스트라이핑 :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기록하는 기술로 하나의 디스크에서 읽어 들이는 것 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음
OSS :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로 표준 유닉스 세스템콜에 기반을 둠
apt-get purge vsftpd : 환경설정까지 삭제
apt-get remove vsftpd : 패키지 제거
rpm -e nmap --nodeps
vi편집기 명령 모드 상태에서 특정 문자열을 아래 방향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 기호를 선언한 뒤에 찾으려는 문자열 패턴을 덧붙여서 기재한다. 만약 다음 문자열을 찾으려면 n, 이전 문자열을 찾으려면 N키를 누르면 이동
kwrite : X윈도 환경에서만 사용 가능한 편집기
프로세스 관련 키
Ctrl c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 보통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고자 할때 사용
Ctrl a : 현재 입력 라인의 시작 부분
Ctrl z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이동하고 터미널 제어권을 반환
Ctrl d : 현재 터미널 세션을 종료. 보통을 로그아웃하고자 할 때 사용
/etc/bashrc : 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 설정
/etc/profile : 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 설정 지정파일
/etc/.bashrc :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들이 있는 파일
~/.bash_profile :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 설정 파일
/etc/fstab : 파일 시스템 테이블
/etc/mtab :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
/etc/mount : 파일 시스템이 실제로 마운트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보여줌
/proc/partitions : 현재 시스템에 있는 파티션 정보를 제공
bash : GNU !!!!!!!!!!!!
csh : 히스토리 기능, Alias 기능, 작업 제어등과 같은 유용한 기능이 포함된 셸로 1978년에 버클리 대학의 빌 조이가 개발
'Certification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5) (4) | 2024.09.07 |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3) (0) | 2024.09.06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2) (2) | 2024.09.06 |
리눅스마스터 2급 시험 준비 (1) (0)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