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D(Domain Driven Design)
비즈니스 Domain별로 나누어 설계
실제 개발할 때, 현업과 IT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아주 중요!!!하다
이 디자인 역시 응집도를 높이고 결합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
🟣strategic design
Business Domain의 상황에 맞계 설계하자!!
(마치 마케팅에서 타겟 계층에 따라 마케팅 전략이 달라지는 것과 같다)
> 비즈니스 목적별로 서비스들을 그룹핑
🟣Tatical Design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도
Strategic Design에서 설계한 각 서브 도메인 별 도메인 모델을 중심으로 설계하는 것
- Layered Architecture
https://happycloud-lee.tistory.com/94
DDD 핵심만 빠르게 이해하기
마이크로서비스의 설계 방법론인 DDD(Domain Driven Design)에 대해 제가 가진 지식과 그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먼저 일하는 방식 변화를 이끌고 있는 애자일, 마이
happycloud-lee.tistory.com
'Develop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에 중요 정보 가리고 올리기 (.env 활용) (0) | 2025.01.09 |
---|---|
Cloud Native & Microservices (0) | 2024.12.26 |
클린 아키텍쳐(Clean Architecture) (0) | 2024.10.06 |
레이어드 아키텍쳐(Layered Architecture) (0) | 2024.10.06 |
HTTP 메서드(2) / 상태코드 (0) | 2024.10.02 |